칼럼

제목내가 믿는 부활-구원사의 신학에서 본 나의 부활신앙 김이곤 2013-04-272021-10-20 14:58

내가 믿는 부활

구원사의 신학에서 본 나의 부활신앙 -

2013년 4월 25일에 경동교회에서 행한 부활절 특강

 

기독교의 경전(經典)은 그리스인들이 믿는 영혼불멸신앙과는 구별되는 히브리종교 특유의 신앙전통을 갖고 있다즉 히브리종교의 성서는 영혼의 불멸 부인하고 죽은 자의 몸의 부활은 믿는 전통을 갖고 있다이러한 히브리 신앙전통을 계승한 기독교의 중심증언은 <그리스도의 성육(成肉)과 그리스도의 대속적(代贖的)인 십자가 죽음그리고 그리스도의 몸의 부활에 관한 선포>로 요약되는데이것을 가리켜 기독교신학에서는 케리그마(κρυγμα,선포된 복음고전 1:21)라고 부른다이 신앙은일반적으로, <그리스 사상과는 대립의 각()을 세운 히브리 사상의 특이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즉 기독교의 부활은이러한 신()의 인간구원역사의 문맥에서 보면, ‘의 연장이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 새로운 완성’ 또는 새로운 창조’(갈 6:15)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므로 기독교의 부활은 우리가 죽음을 통하여 새롭게 변화되는 것’(고전 15:52b), 즉 죽음을 통하여 죽음을 이기는 것(25:8[bĭllă‘]];고전 15:55[νίκος])을 의미한다고 하겠다이 사실은 바울의 아테네 아레오바고 법정 설교(행 17:22-31)에 대한 아테네 시민들의 반응인어떤 사람들의 비웃음이라는 말에서 분명하게 입증된다즉 그리스 사람들은 으로부터 영혼의 영원한 해방(λυτρώσομαι)을 믿는 반면영혼의 죽음과 그것의 새 창조를 통한 변화’(고전 15;52c, ἀλλαγησόμεθαι)는 믿지 않고 비웃었다.


그리하여 
히브리 신앙전통을 계승한 기독교의 경전자료는 매우 초기부터 즉 구약 창세기의 창조기록 서두에서부터 이미 이러한 생명,’ ‘죽음’ 그리고 그 죽음의 반전’(反轉)에 관한 믿음(창 2:9b,16-17,J에덴동산 중앙에 있는 <두 나무의 존재>에 대한 신학적인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심지어 신약의 복음서조차도 (σμα)은 죽일지라도 영혼(ψυχ)은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영혼도 몸도 모두 지옥에 던져서 멸망시킬 수 있는 분을 두려워하여라.”(마 10:28; cf.눅 12:4-5; Hebraistic idiom)라고 말하기까지 하였다그렇다비록 마태와 누가 사이에는 미세한 차이점이 나타나기는 하지만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합의점은 창조주 하나님의 큰 능력과 그리고 흙으로 된 인간의 유한성/무력성사이의 그 근원적 차이(1:1)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내가 믿는 부활>이라는 나의 신앙고백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하려 한다왜냐하면 나로 하여금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에 관하여 관심을 갖게 만들었던 나의 병약한 일생의 그 험악한”(창 47:9삶은거의 전적으로, <히브리 종교즉 성서종교가 안고 있는 고난구원으로 나아가는 인간구원역사(人間救援歷史)의 그 불연속적 연속의 여정(아브라함의 하나님이삭의 하나님야곱의 하나님[출 3:6]의 역사)과 함께 동병상련(同病相憐)하여 왔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주제에 관한 논의의 시작은 <나는 왜 존재하는가나는 왜 무()가 아니고 유()인가?>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그래야, <내가 믿는 부활>에 관한 진술과제를나의 짧은 지식을 가지고이러 저러한 현학적(衒學的)인 ’()과 ’()으로 문제의 본질에서부터 일탈(逸脫)하지 않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이러한 물음형식을 사용하기 시작한 사람은 철학자 모티어 애들러이지만이 철학적 물음을 [천문]물리학적 질문에로 본격적으로 옮긴 과학자는 스티븐 호킹(Hawking, S.)으로 보인다.


호킹 박사는 아인스타인
(Einstein, A. 1879-1955이래(以來) 21세기 세계 최고의 천문 물리학자로서 널리 알려진 과학자인데그의 잘 알려진 책시간의 역사라는 책(1988)에서 그는 다음과 같은 글을 남긴 바가 있다. “… 오늘에 이르기까지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우주가 무엇(what)인가?’를 기술(記述)하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데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우주가 (why)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은 제기할 수 없었다반면 ?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자신들의 직업인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과학이론의 진전을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 우리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발견한다면 그것은 인간 이성의 최종적인 승리가 될 것이다그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의 마음을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썼다.


이 마지막 문장에 대한 나의 오해로 인하여
이 금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호킹을 나는 유신론자라고 잘못 믿게 되었지만그러나시간의 역사(1988이후 22년이라는 세월이 지난 아주 최근(2010), 이 호킹 박사는 22년 전에 자신이 던진 질문에 대하여 대답이라도 하듯이위대한 설계(2010)라는 야심에 찬 책을 출판하고는뜻밖에도그는 여기서 자신을 무신론자로 선포한 이후감히, “()이 우주를 창조하지는 않았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즉 <이 우주는 신()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 우리 인간의 뇌()가 스스로 창조한 그 생명모형이 모형의존 법칙’ (rule of model-dependent)에 따라영원히새로운 모형을 만들면서빅뱅(Big Bang이래 지금까지 137억년이라는 세월을진화해온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던 것이다그리하여 그는 이 인간 뇌가 무()로부터 자신과 이 우주를 자발적으로 창조해 온 바로 이 우주의 일부인 창조자 자신이었다고 결론지었던 것이다.


이러한 우주 물리학적 무신론 이론은 
<무신론 복음의 전도사>로 자처하는 리처드 도킨스(Dawkins, R.)나 데이비드 밀스(Mills, D.및 그들의 이론을 따르는 현대 지식인들에게는 <종교 없는 세상이 주는 해방감>을 고무격려해주었을 것임은 분명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볼 때
철학이나 이론신학 분야에서도 물론 문외한이지만더욱이첨단 천문 물리학 분야에서야말로 더욱 전적으로 문외한인 한 구약학도에 불과한 나로서는 이 엄청난 주제인 <내가 믿는 부활문제를 그것도 호킹과 같은 우리시대 최고의 천문물리학자의 야심찬 이론과 연계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는 것은 매우 무모하다고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른다그럼에도 내가 감히 이러한 시도를 해본 것은 1987년 2월 23일 밤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아이언 쉘톤>이라는 한 천문학자가 발견하였었던 바, <별의 죽음과 새로운 별[超新星]의 생성>에 관한 보도가 준 그 충격과 그 충격을 통한 한 깨달음 때문이었다즉 저 <별의 대폭발과 자기 해체에 의한 별의 그 죽음>을 통하여또한 동시에새로운 별 <초신성(超新星)>이 탄생되었다는 그 보도는실로과학적인 언어라기보다는 오히려 매우 종교적인 언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즉 태어나야만 죽는 일이 있고죽어야만 다시 태어나는 일이 있다는 이 놀라운 물리학적인 현상이 하나의 깨뜨리기 힘든 새로운 교조(敎條)처럼 피부로 느껴왔기 때문이다그러므로 <태어나고(출생)-죽고(사멸)-다시 새롭게태어나는 것>, 이것이 바로 다름 아닌 우리의 세계요 우리의 역사이며 그것이 바로 우리 자신이었던 것이다따라서 우리가 던지고 있는 질문즉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에 대하여 던진 <? Why?>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천문학에서가 아니라성서신학의 맥락에서 히브리 성서(구약과 신약)를 통하여 살펴본다면아마도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에 대한 성서신학적인 해명에 의하여 우리의 이슈를 어느 정도는 발전적으로 정리해 볼 수 있지 않겠나 하고 생각해보았다.

 

1. 첫째로 <>(태어남)의 문제에 대해서는 창세기 2:7우선히브리 경전의 그 고전적인 대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호와(하나님이 사람을 지으시고 생명의 기운(nĭšmăṯ ḥăyyîmπνονζως을 그의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něpěš ăyyāh 생명을 가진 존재’/ Ψυχν ζσαν이 되었다.”(창 2:7)

라고 되어 있다이 본문에서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인 어휘는 사람에 대한 히브리 성서의 결정적인 정의(定義)인 네페쉬(BH; pěš/LXX; ψυχή)라는 단어이다히브리어 네페쉬’(BH)와 이에 대한 그리스어 번역인 푸쉬케’(LXX)는 둘 다 모두 (breath), ‘생명’ (life)을 의미하여흔히 사용되는신화시적 은유(mytho-poetic metaphor)로서는 영혼’(soul)이라는 말로 흔히 번역되곤 하였으나(시 6:4[5], pšȋ]), 그러나그것을 영혼(soul)이라고 할 때의 그 영혼은 전혀 소크라테스적-플라톤적 불멸의 영혼(靈魂, immortal soul)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문제는그 언어가 즉전적으로 인간 생명체’(physical life)을 의미하는 그 네페쉬’/‘푸쉬케그리스 철학의 영향을 받아서그리스의 플라톤적인 불멸의 영[]’이라는 개념(cf. Phaedo)으로 동서양을 막론한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교리’(doctrine)처럼 굳게 믿어왔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즉 많은 기독교 신앙인들도 <예수의 십자가 대속의 고통스러워하신 죽음>보다는 <소크라테스의 영혼 해방을 기뻐하는 희열의 죽음>을 더 소원하고 더 존경하면서 예수의 죽음을 비하(卑下)한다는 데에 현실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이런 점에서라면물리학적 관점은 그리스적 사유보다는 히브리적인 사유(思惟)에 더 가깝다고 하겠다.


구약성서는 이러한 문맥에서 볼 때
인간 출생의 그 근본 근원을 전적으로 창조하시는 하나님에게 두었다!( 하나님=하나님[who]creates즉 야=creator 참조이른 바구약성서는 창조주와 창조된 피조물 사이를 그 처음부터 끝까지 엄격하게 구별!’하여 왔다(창 1:1). 기이하게도 히브리인들은 아마도 그들 역사의 아주 초기부터 자기들이 믿어 온 조상신즉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을 고난의 용광로와 같은 이집트 노예살이와 광야유랑 시기만큼 초기부터 이미 라고 인식하기 시작한 매우 특유한 무리였다(출 3:14; 6:3; 33:19; 34:6, 등등). 그리하여 이 고대 중동과 그리스의 세계와는 달리그 신명(神名)을 고대 중동 제국들의 그 어떠한 종교의식상의 신명(神名목록(目錄)에서부터도 끌어오지 않은!, 이른 바, ‘이름 없는 신’(nameless God, 즉 고대 중동의 다른 세계는 전혀 알지 못하는 신[], cf. 출 5:2; 행 17:23)으로서 출발하였던 것이다즉 라는 말은 히브리어의 구문론(構文論)에서는명사가 아니고 사역형(使役形)의 짧은 동사문장’(=He causes to be=He creates)이기 때문이다즉 ’(yăhwĕh)는 본래는 신()의 제의신명(祭儀神名)이 아니라단지 신()의 속성(屬性)을 서술하는 한 단어로 된 짧은 동사 문장(‘[Dingirwho creates)이었던 것이다고고학 자료들에 의하면그 대표적인 아모리어 서술(敍述)문으로서는 <~을 있게 하시는 [,]>(yahwī-[Il])과 같은 것들이 흔히 발견되었었다즉 야훼본래, ‘그가 ~을 있게 하신다!’라는 부르짖음이었거나아니면, ‘그분!’(O, He!/yā-hû)이라는 짧은 환성(歡聲)이나 신 현현경험(theophany의 체험때나 외치는 열광적인 외침(ekstatische Urlaut)과 같은 부르짖음이었을 것으로도 추론한다이러한 라는 이름의 그 범 우주적인(universal의미는신학적으로(종교사적으로볼 때는참으로 하나의 큰 놀라움이다! (Nomina sunt realia!고대 중동의 저토록 다신론적인 분위기의 세계 속에서도 유독하게 고유명사[祭儀 呼稱]로서의 신명(神名)을 전혀 갖지 않은 신(신앙으로 출발한 그런 민족(출 3:14)이 과연 이스라엘 말고 그 어디에 또 있었던가?(이것은 타종교 비하[卑下]나 히브리종교의 우월성[優越性]을 말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이상하게 들릴지 모르나이스라엘의 조상 신(아브라함의 하나님이삭의 하나님야곱의 하나님이라고 할 때의 그 하나님)이 곧 다름 아닌 바로 그 라고 하는히브리종교의 토착화신학(창 14:22b; 16:13; 출 3:6,13-15; 6:3 등등)의 문맥에서 볼 때웨는이름 없는 신()’이셨고 그리고 이 이름 없는 신은 곧 형상 없는 신(신앙세계[=제국주의적으로 정치권력을 우상종교화하지는 결단코 않는순수 신앙세계]에 대한 하나의 유비(類比)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러므로 
는 예배의식(祭儀)에서 이스라엘 신()의 고유명사로서 공식적인 신명(神名, cf. YHWH tsǝḇā’ôṯ :He causes His armies to be.)으로 고정되기 이전(以前)에는 그 의미가 단지 그가 [긍휼]을 있게 하신다.’/‘그가 [긍휼]을 창조하신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문장의 이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단지, 창조자라는 개념만을 가졌다고 할 때또 이 이름이 구약에서는 오직 창 2:4b-3:24의 창조와 타락 기사에서만! <-하나님>(Elohim[who]yahweh)이라는 기이한 두 신명(神名)의 조합(組合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아마도그 이름은 <창조하시는 ()>(dingir[who]creates)이라는 의미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추측 된다그 경우창 2:4 -3:24의 창조와 타락 기사는 우리의 주제인 <출생-죽음-부활>이라는 주제가 갖고 있는 그 신학적 의미에 관한 물음에 대하여 그 특유의 히브리적인 사유방식으로, 인간과 만유의 <출생>은 전적으로 <창조신>(El who creates)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대답을 해준다고 하겠고동시에 구약신학의 가장 성숙한 모습을 보여준 구약의 가장 위대한 신학자들인 제2이사야(사 40-55장 기자)와 바벨론 포로기 말의 사제 신학자(P)가 분명하게 증언하였듯이, <창조자 야는 곧 다름 아닌 구원자 야이시다>라는 흔들릴 수 없는 신학적 확신에까지 도달하게 된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창세기 기자들(J&P)의 인간학에 따르면창조주 야훼께서 창조하신 인간’ (āḏām)은 흙(‘āpār mĭn-hā‘āḏāmāh땅의 먼지)으로 만들어진 생명체‘(네페쉬/‘푸쉬케)일 뿐이라는 것불멸의 영혼(immortal soul)이 아닌단순한 하나의 생명체’(living creature)라는 것, <인간은 본질적으로 주어진 일생을 다 산 후에는 단지 흙으로 돌아가야 할 유한한 사멸적 생명체>로서 창조되었을 뿐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됨을 본다그리하여 우리는 인간의 삶과 죽음의 운명은 이미 땅의 먼지인 흙’(창 2:7)으로 돌아가는 것(창 3:19)으로서 창조 때부터(창 2:7이미 결정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사멸적인 그 흙의 조형물(造形物속에 창조주 하나님께서 생명의 기운’(生氣nĭšmăṯ ḥăyyîm)을 불어넣으시니까 비로소 살아있는 생명체(pĕš ḥăyyāh)가 되었으니까인간 피조물의 생사(生死)란 전적으로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으신 창조자에게 달려있다는 성서의 증언(신 32:39; 삼상 2:6; 사 45:6-7!!)을 겸허하게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다.


즉 히브리적인 사유
(思惟)는 근본적으로 인간존재를 가리켜 <신적(神的)인 불멸의 영혼을 자신 속에 품고 사는 존재>라고 하는 저 그리스적인 이원론적 인간이해(人間=+/이라는 이원론적인 이해)로부터는 벗어나기를 강력히 요구하는 사유(思惟)라고 하겠다주목할 만 하게도 구약종교는 그 처음부터 비()전투적이고 평화적인 ’(하늘님?)과는 지속적인 일치를 이루어왔으나그러나, ‘바알’(제국주의적 fertility cult와 반윤리적인 sex-cult의 )과는 언제나 투쟁적이었다왜냐하면 히브리적인 사유(思惟)에서는 신()과 인간은 결코 혼동되지 않고 엄격히 차별되기 때문이다(창 1:1). 특히 왕국 분열 후 초기기원 전 9세기의 엘리야의 예언운동에서는 야훼 신의 가시화(可視化/形象化)는 매우 투쟁적으로!! 거부되었다(cf. 왕상 18:21-40). 그리하여 야훼 신()은 본질상 철저히 자신을 감추시는 신’(Deus absconditus)이셨다.(사 45:15. cf. 출 33:18-23그럼에도 히브리적인 신앙세계에서는 신()은 역사를 통하여(출 33:20,22-23에 나타난 하나님의 ’[back=history!!] 은유[metaphor]를 통하여), 자연을 통하여(시 19A그리고 마침내는 말씀을 통하여(시 19B; 신 4; 요 1: 14자신을 계시하시는 분이실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 인간의 희망은 오직 단지전혀 전적으로오직 야훼일 뿐!!(cf. 시 130:5-6; 사 49:15)이라고 하겠다.

 

2그러므로 두 번째 주제로서는, ‘죽음의 본질(本質문제를 우리는 불가피하게 다룰 수밖에 없게 된다. <죽음>은 무엇이고 <왜 인간은 반드시 누구든 죽어야만 하는가?> <왜 피조물은 창조주의 품 안인데도 죽는 것인가?>라고 묻게 된다그렇다면이 절대적 신비의 보자기에 싸여 있는 이 절대적 세력인 죽음이라는 것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가? <인간의 죽음은 과연단지 인간 최초의 타락(原罪) 때문에바로 그 한순간에!?, 사멸적 존재로 떨어진 그런 성격의 것인가?  인간은 단지 생물학적인 유전성을 지닌 원죄(原罪:)의 절대적 위력 때문에 갑자기’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사멸(死滅)의 운명적인 존재로 떨어지게 되었다는 그런 것인가?>라고 우리는 묻게 된다.


말하자면
인간은본래 창조될 때는불사불멸(不死不滅)의 결코 죽지 않는 영적 존재로 창조되었으나첫 인간의 그 첫 범죄(타락/원죄때문에 그 순간누구나 반드시 죽어야 하는 유전인자(遺傳因子)를 갖게 된 것이라는 그런 말인가그러나 나는그 경우아인슈타인이 한 말, “나는 자신이 창조한 대상에게 보응하고 벌주는 신()은 상상할 수 없다.”라고 한 말은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성서는 이에 대하여 단호하게 말하기를, <그게 그런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히브리 종교의 경전인 구약성서
는 인간창조 기사(창 2-3)를 통하여 원죄교리(原罪敎理), 즉 죄의 기원(起源문제를 제기하거나 또는 죽음을 원죄’(아담의 타락때문에 모든 인류가 즉각 거역할 수 없는 숙명으로 그리고 생물학적 유전으로 죽음을 물려받게 되었다고는 결코결단코 말하지 않는다즉 현대 성서주석들은 인간원죄이론은 명백한<성서해석학적 오류>로 본다.


이러한 원죄의 유전성과 그 원죄의 숙명적 결과로 보는 재래
(在來)의 죽음이론을 (=죽음에 대한 성서해석학적 오류를유발케 한 성서 기록들 중 그 대표적인 본문을 든다면 다음 두 곳의 본문을 들겠는데그 하나는① 구약 창 2:17과 3:19이고 그 다른 하나는② 신약 롬 5:12이다.


(1)
구약 창 2:17과 3:19가 언급한 죽음은 둘 다 모두분명, ‘신의 뜻’(神意)에 대한 반역을 막으려는 하나의 예언자적 경고로 주신 말씀일 뿐그 무슨인간 본질이 본래는 불사’(不死)의 존재로 창조되었었는데타락의 그 순간에 즉각 숙명적 유전요소가 인간에게 들어왔다고 해석하는 그런 비평학적 구약학자는 18세기 이후 지금까지 한 사람도 없었다그래서 죽음의 본질은성서기자에게 있어서는(J+P본질상인간의 타락과 죄에 대한 신의 징벌은 아니었던 것이라고 하겠다그러므로 이 엄청난 오해를 불러온 진원지(震源地)라고 할 수 있는 문제의 성구인 창세기 3:19에 대한 주석은 이 경우 더욱 분명하게 주석)되어야할 것이다그 본문은 다음과 같다.


너는 흙에서 나왔으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그 때까지(ăḏ), 너는 얼굴에 땀을 흘 려야 낱알을 먹을 수 있을 것이다너는 흙이니까(),흙으로 돌아갈 것이다.(새번역)


이 본문은
흔히 말하는인류의 타락기사로서 잘 알려진 창세기 3장 기사의 절정(絶頂부분이다그러나 문제는타락한 인류를 향하여 신()이 신문(訊問끝에 최종적으로 내린 그 심판의 말씀은 과연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는 것이다그래서 사람들은흔히 알기 쉽게여기서 말하는 <흙으로 돌아가는 죽음>이란 <타락>에 대한 신의 징벌(懲罰)이고이 징벌의 순간즉 불멸(不滅)의 신적(神的)인 인간(immortal soul)에 대한 신의 징벌의 그 순간인간은 숙명적인 성격의 생물학적 유전성을 가진 사멸적 존재(mortal soul)가 되었다고 흔히들 믿어왔었다는 것이다따라서 기독교의 부활신앙은 <사자(死者)의 혼()의 구원(救援)>이라는 민간신앙과의 사이에서 대단한 혼선이 일어나게 되고급기야기독교 교회들의 영결예배(永訣禮拜설교와 부활절 예배 설교에서는예외 없이부활신앙이 그 근간이 되지 않고 오히려 그리스의 소크라테스-플라톤적 영혼불멸신앙이나 그와 유사한 영지주의적인 [이원론]신앙(靈知主義的 [二元論]信仰)이 그 근간을 이루는 반()부활신앙을 전하는 사태로까지 발전하게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우선 먼저 풀어야 할 문제는
적어도 성서신학에서는창세기 3:19절에 나타난 그 죽음의 선포를 인간타락(=원죄)에 대한 숙명적/유전적 징벌선포로 보느냐라고 하는 문제이다그러나 성서 해석자들은교리신학자들과는 다르게!, 그러한 죽음해석논리에 대하여는 여전히 아니다!”라고 대답한다물론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그리고 그 이후의 여러 교회 지도자들이 줄곧 말해 온 그 원죄죽음의 유전이라는 이론들은 여전히 그 교리논리의 틀에서는 별로 벗어나지 못하여왔었다그러나 계몽주의 시대 이래의 비평학적 성서해석학이론과 자연과학이론은 이러한 기독교 전래의 원죄의 유전이라는 입장에 대하여는 지금까지도 여전히 아니다!!”라고 일관된 응답을 보여 왔다그렇다창세기 3:19에 의하면인간의 반역에 대한 신의 징벌은 <흙에서 와서 흙에로 돌아갈 그 때까지(until, ‘ăd)!, 시간상 그 때까지만그 축복받았었던 인간의 노동(勞動)이 땅에 대한 신()의 저주(창 3:17b)로 인하여 인간은 코에 땀을 흘리는 수고의 고통을 필연적으로 겪게 된 것>이라는 것그것일 이라는 점이다여기서는 히브리어 전치사 ‘ă(까지)”와 접속사 (때문에)”가 지닌 주석상의(rhetoric usage주요기능을 전통적 교리주의자들이 무시하고 놓쳤다는 데 그 문제점이 있었다말하자면 신의 형벌은 단지 흙으로 된 인간이 그 주어진 한평생을 사는 동안까지받아야 할 인간노동의 고통이고 그리고 인간이 흙으로 돌아가야 하는 것(죽음)의 그 이유()는 인간의 구성본질이 단지 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는 것그것을 명확히 하고 있는 말씀이라고 하겠다특히 시편 90:1-3의 시인이 말하기를 “[태초에주님께서는 사람을 티끌로 돌아가게 하시고 말씀하시기를죽을 인생들아돌아가거라.’라고 하셨습니다.”라고 한 것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라 하겠다.


물론 이러한 직접적인 이유 이외에도 몇 가지 중요한 
자료들이 있다그것들 중 신학적으로 중요한 점 몇 가지만 제시한다면하나님의 구원사적(救援史的활동 면에서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문자적 논리로 보면창 2:17에서 하나님께서는 강한 어조로 그것을 따먹는 날에는 너는 반드시 죽는다.”라고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아담과 하와는 즉시 죽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낙원에서 추방된 이후에도 자녀들을 낳으며 무려 800년을 더 살았고 총 향년 930를 다 누리고 죽었다고 성서가 기록하였으니 창 2:17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하나님의 이 경고는 본래부터 결정론적인 것이기 보다는 예언문학적인 경고 성격의 것임이 분명하다.


그 다음으로는 타락한 아담과 그의 아내에 대한 징벌선포 후그들을 에덴의 낙원에서 추방하실 때의 야훼 하나님이 취하신 인간에 대한 후속 조치들은놀랍게도!, <증오의 심판>이라고 보기에는 일반 상식으로서는 전혀 납득이 가지 않는 창조주의 모성적인’ 모습!, 이른 바구원사적인 자애(慈愛/矜恤)의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예컨대, ‘에게는 즉각 저주를 내리신 것(창 3:14)과는 전혀 다르게 타락의 책임이 남자보다 더 많은 것으로 생각되는 그 아담의 아내에게는 너무나 큰 영광스런 이름인 하와’ (ăwwāh=生命)라는 이름을 [그녀의 남편을 통해서부여하신 점을 지적할 수 있다즉 창 3:20b에서 성서기자(J)가 그녀는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창 3:20)라고 한 말씀을 또한 그 예()로서 지적할 수 있다더욱이이러한 문맥에서 볼 때, 20세기 세계 성서고고학계와 고대 중동 언어학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올브라이트(Albright, W.F.교수가 하와’(āwwāh=생명)라는 이름이 라는 신명(神名)의 어근(語根, an archaic root of YHWH)일 가능성까지 말할 정도의 그런 광영의 말씀이기도 하다이것은 성서 문맥상 무엇을 말하는가창조주 하나님은창조자가 갖는 그 본래의 본질상그가 지으신 자녀들인 인간이 죄로 떨어지고 또 그 죄 속에서 멸망하기를 결코(never, never, never!원하지 않으신다는 것그리고 우리를 잉태와 해산을 통하여 이 세상에 있게 하신’(who caused to be창조자[母性하나님은 오히려 우리가 회개하고 돌아오는 것(본질로의 회복)을 정말진실로 정말바라신다는 것그것은실로창조자 하나님의 구원사적 긍휼의지가 어떤 것인지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뿐만 아니라창조자 하나님은 낙원에서부터 축출을 당하는 아담과 하와에게는뱀에 대한 저주와는 구별되게오히려 가죽옷을 친히 지어 입혀 주셨다는 것(창 3:21)도 또한 바로 그 창조신[母性 神]의 <구원사적 의지의 문맥>에서 읽을 수 있으며더욱 역설적(逆說的)으로는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에덴에서 축출하신 후에도생명나무에 이르는 길을 빙빙 도는 불 칼로서 지키게 하셨다(창 3:24)는 것도 또한 역설적으로는 창조주께서 아직은 이 타락한 인간과 영원히 결별하신 것은 아니라는 것즉 회개하고 돌아 올 것에 대한 기대와 연민을 증언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창조주의 
구원사적 의지의 절정(絶頂)성서는, <고난 받는 야훼의 종메시아의 대속(代贖)적인 죽음>(이사야 53:4-12사도행전 8:34-35)에서 본다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成肉)과 죽음 그리고 부활이라는 그 그리스도 사건>은 태초의 알파로부터 구원사적 완성으로서의 오메가에 이르는 구원역사의 그 중간점’(the mid-point)이 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성서 전체의 구원사적 맥락에서 볼 때흙으로 돌아가는 것으로서의 죽음이라는 것은 원죄의 불가역적인 생물학적 유전으로 부여된 것이라고는 결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하겠다.


(2)
이러한 성서해석학적 오해 중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것은이른 바저 유명한 신약의 사도 바울의 글인 로마서 5:12와 그 이하의 말씀(Cf. 롬 5:12-21; 고전 15:35-58, 등등)에 대한 해석학적 오류를 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문제의 본문은 이러하다: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왔고또 그 죄로 말미암아 죽음[死亡]이 들어 온 것(εσλθενcame into)과 같이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기 때문에 죽음이 모든 사람 에게 퍼지게 되었습니다(διλθενspread to).”

라고 되어 있는데여기 사용된 퍼지게 되었다’(διλθεν)라는 말에서 볼 때유전(遺傳보다는 오히려 전염(傳染)!!’ [εσλΘεν 보다는 διλΘεν]이라는 개념 적용이 더 올바른 해석이라고 하겠다구약성서의 문맥에서도(J이 해석이 옳아 보인다예컨대창 4:7b(J문서)에서 야훼께서는 인류사 최초의 형제 살인자 가인을 향하여 죄가 너의 [양심의() 앞에서 [맹수처럼도사리고 앉아서 너를 지배하려고 한다너는 그 죄를 잘 다스려야 한다(tĭmŝŏl-bȏ).”라고 말씀하신 것은 바로 그 좋은 예다죄는 처음부터 유전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전염성을 지닌 것으로서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자유의지와 관련된 것이라 하겠다여기서 우리는 놀라운 신학적 역설’(逆說)을 인지하게 된다즉 <죄는 유전적인 것이 아니라 전염적인 것이고이와 역()으로또 죽음은 인간의 자유에 속한 것이 아니라 도리어 신의 명령에 속한 운명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말하자면 문제의 성서본문창세기 3:19a,c에 나타나는 수사 접속사(‘왜냐하면을 의미하는 )가 해석학적 기능의 중요성을 밝혀주는데 크게 공헌하고 있다고 하겠다.


물론 칼 바르트는 그의 
로마서』 주석에서 비록 죽음은 죄를 통하여 온 것즉 비록 죽음은 인간의 범죄에 대한 신의 진노의 사인(sign)으로서의 신의 명령’(divine command)이라고는 말하지만그래서 창세기 3:19의 문맥은 비록 인간의 타락에 대한 신의 [진노의반응이라고는 해도창세기 2-3장 전체의 문맥과 창 3:19의 히브리어 구문론(構文論)에서는여기서의 신의 징계는분명()의 구원사적 문맥 안에서 읽어야 하고 또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징계는어디까지나, ‘흙에서 와서 흙으로 돌아가기까지(히브리어 ‘ǎḏ의 주요 기능 참조그 노동의 고통을 의미한다고 하겠다즉 죽음은 타락 이전의 불멸에서부터 원죄 직후의 유전적 사멸에로의 급전(急轉)현상이 결코 아니라하나님께서 흙으로서 인간을 창조하실 때 이미 흙의 유한한 본질로서 정하여주신 바신의 명령에 따른 것그것일 뿐이라 하겠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살리시기도 하시고 죽이시기도 하시기 때문이다.(신 32:39; 삼상 2:6)

이렇게 하여창세기 3:19에 대하여 내가 내린 본문 주석적 결론은 그러므로 이것이다인간의 죽음은 신의 명령이며그러므로 흙에서 온 인간에겐 피할 수 없는 것이다흙으로 지어진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신의 아들조차도 사람으로 오시면 죽게’ 되어 있다(고전 15:28). 몸을 가진 인간은그러므로교조적 위선이 아니고서는소크라테스처럼 죽을 수는 없다그러면 우리의 희망은 무엇인가(고전 15:19)? 로마서 5:12-21이 던진 문제는그러므로아담-예수 동형[同型이론적 해석방법(typology)으로서 해석하는 것이성서의 문맥에서는최선으로 보인다즉 고린도 전서 15:22에서 말한 것처럼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과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는 모든 사람이 살아나게 될 것이라고만 우리로서는 말할 수밖에 없다.

 

3. 따라서 우리의 세 번째 주제 즉 우리 주제의 결론은 <죽음 이후>의 문제에 대한 해결만 남게 된다즉 <부활>의 문제이다이 물음에 대한 성서의 대답은위의 논지를 근거로 하면결코 모호하지 않고 매우 명료하다즉 창세기 2-3장을 [더 나아가 성서 전체를] ‘구원사적으로’ 읽는다면!!, ‘부활은 잃어버린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이다물론그 부활 역시결코 그리스 철학이 말하는 영혼의 해방과 같은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물리적 [몸의변화’(고전 15:3,13,14,15,16,20,)를 가리킨다(갈 6:15). 사도 바울이 말한 신령한 몸’(고전 15:44)도 또한, <바울의 소명설화>(행 9;1-19a)가 가진 표현이 시사(示唆)하듯이형이상학적인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것으로 보아야 하며따라서헬레니즘의 사유(思惟)로가 아니라 헤브라이즘의 사유(思惟)로 풀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아담-예수 동형 이론(고전 15;20-26)에서 보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우리 모든 인간의 부활에 관해서 말할 수 있는 최상의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부활의 첫 열매>(παρχ고전 15:20,23; cf. πρωτότοκος골 1:18; 계 1:5)!!라고 증언되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그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객관적 또는 신학적 근거는 무엇이냐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그렇다면 그것은 마가의 빈 무덤 기사’(막 16:1=8; cf. 마 28:1-10; 눅 24:1-12; 요 20:1-10때문인가물론네 복음서들은 모두 마가복음 16:6(에겔데 [ἠγερθη]에게이로[ἐγείρω])을 출발점으로 하여 마태 28:6,7(γερθη눅 24:7(아나스테나이[ἀναστναι]); 요 20:9(ναστναι등에서 분명히 이 빈 무덤 기사를 통한 예수의 부활을다소 상이하게나마한 목소리로 증언하고 있다특히거기에서 매우 주목해보아야 할 신학적인 공통된 관점인이른 바히브리 경전의 특유한’ 부활신앙을 여기서도 또한 발견할 수 있다는 그 점이 중요하다즉 신약성서의 초기 부활 증언즉 바울의 고린도 전서 15장 3-4, 14-15와 그것을 뒤이은 것으로 보이는 사 복음서(四 福音書)의 부활 증언이 모두! ‘예수[그리스도]가 [죽음에서일어나셨다!’(Jesus has [a]risen!) 즉 예수를 주어로 하고 그리고 동사는 자동사(自動詞)로는 되어있지 않고모든 부활기술이 (코이네)그리스어로는한국어 번역[영어번역 및 기타 대부분의 번역본들]과는 전혀 달리!, 예수라는 고유명사 주어(主語)가 빠진 불특정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였고 그리고 일어난다.’는 동사는 자동사(自動詞)가 아닌 타동사(他動詞과거형(aorist또는 과거형 타동사(他動詞)의 수동형(受動形동사문장을 사용하여, ‘그가 [죽음에서일으킴을 받으셨다’(He has been raised!또는 그 어떤 분이 그리스도 일으키셨다.’ 라고만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놀랍다!!! 분명코여기서 성서기자들(바울과 복음서 기자들)은 <인류 구원의 주()요 세계 창조의 주()이신 야훼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음에서 일으키셔서 (아담 안에서모든 죽은 자들(잠자는 자들)의 <부활의 첫 열매>되게 하셨다>라고 하는 신앙즉 아테네인들과는 매우 다른’! 히브리 신학적 확신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이다이른 바홀로 생명과 죽음을 관장하시는 그분께서또한 홀로예수 그리스도를 죽음에서 일으키실 수 있으셨고 모든 인류도 또한 죽음에서 일으키실 수 있는 것이라는 말이라 하겠다즉 바울과 그리고 그의 신앙전통을 이은 복음서 기자들의 부활신앙이 바로 이러한 히브리적인 구원사신학적 신앙전통에 서 있었다고 하겠다.


이렇게 하여 성서가 말하는 바
,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부활)>에 관한 이상의 증언드디어는, <왜 우리는 존재하는가?>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왜 우리는 ’()가 아니고 ’()인가?>라는 우리 존재에 대한 그 근본적 물음에 대하여 하나의 진솔한 대답을 하고 있는 셈이라고 하겠다이런 주장이 비록 무신론 선교사들로부터는 신랄한 비판에 직면케 된다 하더라도나는 그 무엇보다 우선! ‘창조자 하나님’(=야훼 하나님)의 실재에 대한 믿음을 우선적으로 고집한다물론나는 여기서 창조자 하나님의 실재를 그가 이 우주법칙의 지적 설계자’(Intelligent Designer)라는 입장에서 논증하려 하지는 않는다왜냐하면 성서는 야훼 하나님의 구원사 섭리에 대한 성서기자들의 신앙을 증언하고 있고 그 증언에 의거하여 우리에게 신의 뜻에 복종하며 살기를 요구하는 책일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리스도를 죽음에서 
일으키신 신(호 데오스 호스 에게이렌 톤 크리스톤,ὁ θεός ς γειρεν τν Χριστόν 고전 15:15c),창조주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죽음에서 일으켜주신(γειρεν) 것처럼우리도 또한 죽음에서 일으켜주실 것을 믿는다는 것(사도신경 마지막 두 항목 믿음)을 고백하면서 나는 나의 부활신앙을 다음과 같이 간추려 소개함으로 나의 신앙고백을 마칠까 한다.


우선나는 <내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갈 것인지>를 확실한 과학적 증거로는 제시할 수 없다는 점을 먼저 고백한다그러나 나는또한 동시에내가 지금 여기 살아있어서 말씀을 전하고 있다는 것만은 사실이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고도 또한 말한다왜냐하면 나는 지금 불확실한 기억으로나마 나의 어린 시절과 그 험악한(창 47:9과거의 삶이 불연속적 연속성을 띄며 구체적으로 내 뇌리 안에서 떠오르고 있음은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것은 마치 구약성서 오경 기사 도처에서(passim)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삭의 하나님야곱의 하나님 [야훼]”(출 3:6출 4:5)이라는 공식어투들(formulae)이 보여주고 있듯이그렇게나 역시 인류 구원사의 흐름(불연속적 연속속에 역사의 주께서 실재하셨음을 늘 체험하였기 때문이다그런 의미에서 볼 때아브라함의 하나님이삭의 하나님야곱의 하나님예수의 하나님루터나 칼빈의 하나님김이곤의 하나님등등의 지속적이고도 역사의 주에 대한 신앙체험과 그 고백 속에 나타나는 구원사적 역사의 하나님이 바로 <우리를 낳으시고우리를 죽이시고!! 그리고 또 우리를 다시 창조하실그분그가 부활의 주 야훼 하나님>(마 22:32; 막 12:26; 눅 20:38)이시라는 점에서 그렇다그럼에도 이러한 그분의 본질에 대한 풀 수 없는 최대의 비밀이 하나 남게 되는데그것은 그분은 언제나 자신을 감추시는 분이시라는 사실(Deus absconditus)이다무신론자들의 결정적인 약점도 또한바로 여기()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에 그 전 운명을 건다는 그 점이다놀라운 것은중동세계의 그 어떤 나라들과 그 어떤 종교들도 말하지 못하였던 사실즉 야훼 하나님(=창조자 하나님)의 본질은 불 가시(不 可視)하고 스스로 자신을 감추시는 신(Deus absconditus)으로서, <이름[祭儀名]이 없는 신[nameless God]>이시라는 사실을 구약과 신약의 히브리 종교가 고유하게 말하여왔다는 점이다!!


이 사실을 아브라함의 출향 이래 거의 천여 년의 세월을 보낸 후에야
비로소무릎을 크게 치면서 뒤늦게 신학적으로 깨닫고 정립한 저 성서 최대의 신학자들은 다름 아닌 기원전 6세기의 익명의 예언자 2이사야와 사제 신학자(P)였다그들은 결코 모호하지 않게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진실로 주님은 자신을 숨기시는 하나님이십니다.”(사 45:15)라고 그리고 <하나님 그분은 결코 그 본체는 볼 수 없는 분이시고 그 ’(back)만 보이신다.>(출 33:23, P)라고 증언하였다실로이 각성은 이스라엘 신학의 위대한 신학적 승리를 보여준 각성이라고 하겠다이러한 각성을 세계주의적으로 이론화하고 집대성한 익명의 예언자인 저 제2이사야(사 40-55장을 기록하여 남긴 익명의 예언자)를 가리켜마르틴 부버(M. Buber)는 세계사 신학의 창시자’ 또는 이스라엘의 가장 깊이 있는 사상가라고 높이 평가한 바가 있다그렇다면 왜 야훼 하나님은 본질상 ’(back=God’s self-revelation: 자연역사 그리고 말씀을 통한 자기계시) 보이시고(출 33:23; 34:6), 지식인들로 하여금 무신론의 덫에 쉽게 걸리도록철저히 자신을 숨기기만 하시는’ 것일까이에 대한 그들(2이사야와 P기자)의 모범적인 대답은 이사야 44:24; 45:7,15와 창세기 1:1에서 들을 수 있다즉 구원역사는 창조역사요 그리고 구원자는 또한 창조자라는 그것이다무신론 선교사들(atheist propagandists)은 바로 이 중요한 사실의 의미를 놓친 자들이고 또한 신앙적으로 체험치 못한 자들이라고 하겠다.


그 다음으로 히브리 경전에 대한 비평적 주석을 통해서 또 하나 새롭게 각성한 점은 죽음’(흙으로 돌아가는 것)은 원죄의 유전적 인과(因果)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그것은 단지 신의 명령이고 그러므로 그것은 창조자 하나님 자신의 고유한 창조법칙이며 그 창조역사는 곧 또한 인간 구원역사이기도 하다는 사실이다그러므로 죽음은 찬양할 것도 아니고 죄의 인과(因果)라고 탄식하며 정죄할 것도 아니다그러므로 소크라테스의 죽음도 결코 찬양할 것도 아니고 동경[憧憬]할 것도 아니다. ‘죽음만일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안에만 있다면(갈 6:15), 그것은 단지 불연속의 연속이라는 웨 하나님의 구원사적 시간의 선상에 있는 한 중간점일 뿐이다.


따라서 마지막 나머지의 문제는 <죽음 이후=부활 세계>에 대한 성서의 증언을 해석학적으로 밝히는 문제라고 하겠다즉 예수의 <빈 무덤 전승>과 그리고 모세나 예언자 엘리야의 경우처럼 <무덤을 아는 사람이 없다는 전승>, 그리고 에녹의 경우처럼 <죽음을 경험치 않고 죽음 너머’(beyond)로 옮겨진(lāqăḥ ‘ōṯȏ ’ĕlōhȋm자에 대한 전승>을 해석하는 일이다이러한 세 가지 전승에도 또한 공통점이 있다는 점이다그것은 그 모든 전승들 속에 나타난 사건들의 주체(=主語)가 모두 야훼’()!! 이시라는 사실이다성육(成肉)한 인자(人子예수/모세/엘리야/에녹은 신()으로서 우리에게 오신 분들이 아니고 을 가진 사람으로서 우리에게 오신 분들이다그래서 그들은 모두 그 보내신 분(Sender)께서 일으키셔서!! 자신에게로 돌아오게 하셨으므로 그분들도 그분 하나님에게로 돌아가셨을 뿐이다우리 역시도 모두 그럴 것이다.


단지
하나님의 아들로서 인간으로 성육(成肉)하신 예수님만메시아 비밀을 열어 보이신 후부터는(마 16:21f.; 막 8:30f.; 눅 9:21f.; 요한복음은 그 처음부터!)!, 자기를 보내신 그분에게로 돌아가실 준비를 지속적으로 하셨고동시에분명한 유언(遺言, testament)의 말씀을 우리에게 남기셨다(마 28:16-20; 막 16:15-18; : 24:26-27; 요 14). 즉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하나님을 믿고 또 를 믿어라내 아버지의 집에는 있을 곳이 많다!! 그렇지 않다면내가 너희가 있을 곳을 마련하러 간다고 너희에게 말했겠느냐? ”(요 14장에서 발췌라고 하셨고 또 시편 90편 시인도 주님주는 대대로 우리의 거처(居處mā‘ôn[][])이십니다산들이 생기기 전에 땅과 우주가 생기기 영원부터 영원까지 주님만이 [:’ēl]이십니다그 주님께서 태초에사람을 티끌로 돌아가게 하시고 말씀하시기를 죽을 인생들아, [나의 거처로나의 宇宙돌아오너라![돌아가거라].’ 하셨다.”(시 90:1-3)라고 노래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를 지으신 그분확신하건데우리의 아버지/어머니로서, “[아직도]먼 거리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 탕자 같은 우리를 측은히 여기셔서(엘 라훔[긍휼의 께서 가슴이 저리셔서출 34:6) [벗은 발로달려와 우리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추어주실 것이다.”(눅 15:20)